2025년 청년도약계좌 변경 내용 및 가입 일정표

청년도약계좌 누적 가입자 수가 157만 명을 돌파했습니다. 이는 전체 가입 가능 청년의 25% 이상이 자산 형성에 참여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. 청년도약계좌가 청년층의 실질적인 자산 형성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데, 2025년 청년도약계좌 변경 내용 및 가입 일정표를 안내합니다.



▶정책정보 바로가기
▶생활소식 바로가기

2025년 청년도약계좌

1. 2025년 청년도약계좌 정책 변경 내용

①기여금 상향
2025년 1월 납입분부터 기존 월 최대 2만 4천 원이었던 기여금이 최대 3만 3천 원으로 증액됩니다.

②수익률 증가
이는 일반 적금 상품으로 환산 시 연 최대 8.87%였던 수익률을 연 최대 9.54%까지 높이는 효과를 가져옵니다.

③실질적 납입액 지원
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실제 납입액에 비례하여 기여금을 매칭 받을 수 있도록 매칭 한도가 확대됩니다. 기존에는 소득 수준별로 기여금 매칭 한도가 있었으나, 25년부터는 납입 한도(월 70만원)까지 매칭 받을 수 있도록 변경됩니다.

④매칭 비율 조정
매칭 한도가 확대된 구간에는 3.0%의 매칭 비율이 적용됩니다.

⑤중도 해지 시 혜택
3년 이상 계좌를 유지할 경우, 부득이하게 중도 해지하더라도 비과세 혜택과 일부 기여금(60%)을 받을 수 있어, 연 최대 7.64%의 일반 적금 상품 수익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
2.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일정표

자료출처 : 금융위원회 홈페이지

3. 청년도약계좌 편의 기능 강화

①신용점수 가점: 2년 이상 가입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한 경우 개인신용평가점수가 자동으로 가산됩니다.
②부분 인출 서비스: 2025년 하반기부터는 납입원금의 40% 범위 내에서 부분 인출이 가능해져, 보다 유연한 자금 운용이 가능해집니다.

4. 2025년 청년도약계좌 사업 운영 계획

①예산 확보
2025년 청년도약계좌 사업 예산으로 3,470억 원이 확보되었으며, 기존과 같이 매월 가입 및 기여금 지급이 차질 없이 진행될 예정입니다.

②가입 신청 기간
2025년 1월 2일부터 10일까지(영업일 기준) 취급은행 모바일 앱을 통해 가입 신청이 가능하며, 기존 신청자 중 계좌를 개설하지 못한 청년도 재신청이 가능합니다.

③계좌 개설 기간
1인 가구 청년은 1월 16일 ~ 2월 7일, 2인 이상 가구 청년은 1월 27일 ~ 2월 7일(영업일 기준)까지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.

5. 문의처

①홈페이지
-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(https://ylaccount.kinfa.or.kr)
-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(https://www.kinfa.or.kr)

②비대면 상담
-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(1397 → 바로 3번, 영업일 오전 9시 ~ 오후 6시 30분, 통화료 무료)
-취급은행 콜센터로 문의



▶정책정보 바로가기
▶생활소식 바로가기

마치며

[자료 및 이미지 출처]

▶금융위원회 홈페이지
▶홍보영상 바로가기

자료출처 : 금융위원회 홈페이지